Skip to main content
School entrance Center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과 패션마케팅 전공 표윤*

- 어떻게 준비하였는지?

2학년 때부터 패션 관련 자격증들을 취득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내가 사회에 진출했을 때 취업시장에서 경쟁해야 할 사람들은 라사라를 함께 다니는 동기, 선배들뿐만 아니라 전국의 일반 4년제 의상학과를 졸업한 모든 학생들이라는 생각에 “일반 대학교를 졸업한 친구들 대비 내가 내세울 수 있는 경쟁력이 뭐가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다 보니 전공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 내 이력서를 풍성하게 만들어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1학년 말부터 민간자격증(샵마스터, VMD, 패션스타일리스트) 자격증을 차근차근 취득했고, 2학년 초부터 국가 산업기사 자격증(패션머천다이징, 컬러리스트)을 준비해 1년 6개월 동안 전공 관련 자격증을 모두 취득했다. 그중 산업기사 자격증 2를 취득해 필수 전공학점이 모두 채워진 덕분에 마지막 학기는 원하는 수업만 듣고, 졸업전시를 마무리 하며 대학원 진학 준비를 병행했다. 학점은행제의 특성상 수강하는 수업의 수만큼 학비가 청구되기 때문에 학비를 조금만 내고 나머지 돈은 대학원 진학을 위해 투자하며 입시 준비를 했다. 덕분에 시간과 비용 모두 절약할 수 있었다. 대학원 진학을 위해 포트폴리오, 자기소개서 등을 준비했는데 졸업 전시 때 (Store MD project) 배운 것들을 백분 활용하여 포트폴리오도 VMD 스타일로 준비했다. 덕분에 나중에 취업 때까지 오래 사용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놓은 것 같아 만족스럽다. 또 대학원 지원서 마지막 항목에 그간 취득했던 자격증을 모두 기록했다. 내 전공에 대한 흥미, 관심도 그리고 성실성까지 어필할 수 있는 전략이었다. 덕분에 면접때도 “왜 이렇게 자격증을 많이 취득했느냐?”라는 질문을 받을 수 있었다. 답변은 위와 같이, 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

- 어려웠던 점, 좋았던 점

생각보다 힘들었다. 그래서 학기 초에는 동기들과 함께 앓는 소리를 엄청나게 많이 했다. 학부 때는 복습 위주의 공부였다면, 대학원에서는 예습이 복습보다 더 중요하다. 수업 전에 과제나 필요한 수업 자료들을 충분히 숙지해 놓은 상태로 수업에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 공부시간이 크게 늘어났다. 처음에는 자기 공부를 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이 많았으나, 이도 단련되다 보니 시간을 잘 쪼개고 잘 활용하는 법을 익히게 된 것 같다. 적응하는 팁은 교수님마다 추구하시는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과제나 발표 준비에 있어 ‘나만의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이 좋지 만은 않은 것 같다. 수업 별로 과제, 발표 제출 양식을 조금씩 변형해 줄 필요가 있다.

- 현재 만족도

우리 대학원은 학구적인 성향이 강한 편이다. 논문이나 책도 많이 읽어야 하고, 발표도 매 수업 당 2번씩은 진행하며 논문 작성을 위한 통계 수업도 매 학기마다 한 과목씩 꼭 듣는다. 졸업시험과 졸업논문 모두 준비해야 하지만 대신 배우는 것도 정말 많고 확실히 학부 대비 깊게 배운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대학원생으로써 학생의 본분인 학업에 치중하며 정말 열심히 살고 있다. 지금 학교에 진학한 것도 정말 만족스럽고 현재 지도 교수님과 전공 교수님들 모두 존경하며 정말 많은 배움을 얻고 있어 매 학기마다 성장해 나가는 자신을 느낄 수 있다. 여전히 부족한 점은 많지만 현재 만족도는 아주 높다.

- 향후 계획

향후 계획은 우선 좋은 논문을 쓰고 제때 졸업하는 것이 목표다. 벌서 대학원에 입학한 지 1년이 지났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시간이 빠르게 가고 있다. 졸업하고 바로 취직을 고려하고 있다. 인턴을 지원할지 바로 취직을 할지가 최근 고민이긴 하지만, 우선 좋은 논문을 쓰는 것이 가장 가까운 목표이자 계획이다.

Leave a Reply